치과병원 설립기준 시급
치과병원 설립기준 시급
  • 치학신문
  • 승인 2010.02.15 00: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덴탈투데이/치학신문] 치과에서 병원급은 어떤 시설을 갖춰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이 없다. 간판만 치과병원이라고 해도 법으로 규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따라 의료전달체계 2차기관의 역할을 담당해야할 치과병원급은 제대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우려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2009년 12월 기준으로 전국에 치과병원은 183개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식적으로 ‘치과병원’으로 인정할 만한 기준인 치과의사전문의 전공의 수련기관 기준을 충족하는 기관은 50~60개에 불과하다.

의료전달체계는 1차 동네 의원급에서 2차 병원급으로 후송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치과분야의 경우는 간판만 치과병원이라고 하면 된다. 즉 병원 설립기준이 없기 때문에 누구나 치과병원이라는 간판을 달 수 있다. 의료법상 치과병원은 기준이 없기 때문에 의료전달체계는 빛좋은 개살구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병원급 이상 타 직종 간 협진체계가 허용되는 의료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이 29일자로 발효되면서 치과·한의과·의과의 협진이 가능해지면서 치과병원은 의사나 한의사를 각각 고용해 진료과목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협진은 병원급만 해당되고 치과의원은 허용되지 않는다.

시행규칙 개정안에 따르면, 병원급 의료기관에서는 다른 직종 의료인을 고용해 진료과목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데, 치과병원의 경우 별도의 시설기준이 빠져 있다.

현행 의료법상 병원은 30병상 이상으로 규정돼 있다. 다만 시행규칙에 임상검사실 방사선장치 의무기록실 소독시설 자가발전시설 등 몇가지 시설기준을 갖추도록 하고 있어 이러한 시설만 갖춘다면 치과병원을 설립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즉, 현행법 상으로는 치과의사 1인이 단독개원을 하더라도 이미 밝힌 5개 시설만 갖추면 치과병원이 될 수 있다.

치과병원은 의료전달체계에서 2차 기관이 될 수 있으며 ‘협진 허용’을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도 의료법 상 치과병원의 기준이 없기 때문에 치과병원을 표방하는 기관이 3배 가까이 많은 실정이다. 이번 ‘협진체계 허용’을 계기로 병원급 치과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치과병원 기준을 하루 빨리 만들어야할 필요성이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