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진료 만족도 62%-활용 의향 88%
비대면 진료 만족도 62%-활용 의향 88%
  • 박원진 기자
  • 승인 2022.11.16 13: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건산업진흥원, 국민 대상 서비스 경험 및 디지털헬스 역량 조사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활성화되고 있는 비대면 진료의 만족도는 환자의 디지털헬스 역량에 따라 다르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비대면 진료 만족도는 62.3%, 향후 활용 의향은 87.9%로 높게 나타났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직무대행 김영옥 기획이사)이 여론조사기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한시적 비대면 전화상담 및 처방 서비스를 경험한 국민(환자)을 대상으로 비대면 진료 서비스 만족도 및 디지털헬스 역량을 조사한 결과다.

이번 조사는 지난 9월 15일부터 9월 22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하였으며, 만19세 이상 국민(환자) 1707명이 참여했다. 설문의 주요내용은 비대면 진료 인지율, 이용매체, 선택이유, 만족도, 활용의향, 디지털헬스 역량 수준 등이었다.

조사결과, 설문에 참여한 대상자 중 비대면 진료가 한시적으로 허용된 것을 인지하고 있는 비율은 79.1%였으나, 비대면 진료와 관련한 교육‧홍보 경험은 82.8%가 없다고 응답했다. 대다수 환자들은 비대면 진료를 위해서 대부분 음성/화상전화를 이용(71.7%) 했으며, 5분 이내의 상담‧진료(88.0%)를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대면 진료를 선택한 이유로는 편리성(34.0%)과 함께 코로나 격리(34.0%) 때문이라는 응답이 높았다.

비대면 진료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비대면 진료 경험자 중 62.3%는 만족한다고 응답했고, 87.9%는 향후 활용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의료기관(의원급)과의 거리가 멀수록, 의료기관 방문빈도가 잦을수록, 도시보다 읍면지역에서 활용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대면 진료 경험 환자의 13.4%는 비대면 진료 시 증상 등의 설명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설명의 어려움은 연령, 학력, 지역과는 무관했고, 여성보다 남성이, 진료 질환이 만성질환일 때 어려움을 더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비대면 진료를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서비스로는 가정용/휴대용 건강모니터링 개발‧보급(33.7%), 환자‧의사 간 실시간 의료정보 제공‧활용(24.8%), 온라인 예약‧수납(13.9%) 순으로 응답했다.

디지털헬스 역량을 파악하기 위해 개발된 10개 문항(5점 만점, Cronbach-α=0.91)에 대해 자가평가를 실시한 결과, ‘인터넷, 모바일 등을 활용해 나의 의료정보와 건강정보를 찾을 수 있다’와 ’유익한 건강정보를 건강한 생활 실천을 위해 활용할 수 있다‘는 항목이 3.65점과 3.64점으로 높은 편이었다.

이어 ‘건강정보가 안전하고 신뢰할 만한지 판단할 수 있다’와 ’내 의료정보와 건강정보를 질병과 건강관리를 위해 이용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제공할 수 있다‘가 3.33점과 3.39점으로 낮은 편이었다.

대체로 여성은 건강정보 탐색 역량이, 남성은 건강정보 신뢰성에 대한 판단과 건강관리도구 활용 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디지털헬스 역량은 연령이 낮을수록, 읍면지역보다 도시지역에서, 대졸 이상 학력에서, 만성질환이 없는 환자, 그리고 여성이 스스로의 역량을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디지털헬스 역량 수준(평균 3.5점 이상과 미만 그룹)에 따라 비대면 진료 경험을 분석해본 결과, 디지털헬스 역량이 높은 그룹에서 비대면 진료 시 설명에 대한 어려움을 적게 느꼈고, 상담 시간과 정보의 충족도, 진료 만족도, 향후 활용 의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디지털헬스 역량이 비대면 진료의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디지털헬스 역량이 높은 그룹에서 최근 정부와 민간에서 추진한 코로나 19 예방접종서비스, 건강정보활용서비스, 온라인 예약‧수납 등 병원서비스, 비대면 건강관리서비스를 더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나 개인의 디지털헬스 역량이 디지털 기반의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보건의료서비스의 디지털 전환이 급속히 이루어지는 현 상황에서, 디지털헬스케어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국민(환자)의 디지털헬스 역량 강화를 위한 정부차원에서의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