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어도 없어도 걱정인 ‘사랑니’ 어떻게 할까?
있어도 없어도 걱정인 ‘사랑니’ 어떻게 할까?
  • 최병준 교수
  • 승인 2022.04.20 15: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구강 내 제일 뒤쪽에 위치해 있는 사랑니의 정확한 명칭은 제3대구치다. 보통 17~18세 전후로 해서 상하좌우 총 4개가 나기 시작한다. 사람에 따라 개수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아예 나지 않았거나, 있어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는 방사선 촬영을 통해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쁜 명칭과는 달리 통증, 발치의 무서움 등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랑니를 꼭 빼야 하는지 궁금해 한다. 위치상으로 볼 때 양치질을 아무리 잘한다고 하더라도 관리가 어렵고, 몸이 피곤하거나 음식물이 끼면 쉽게 붓고 염증이 생기기 때문에 예방적 차원에서 발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과에 사랑니 발치를 문의해보면 간혹 ‘큰 병원에 가서 빼야 돼요’라는 말을 듣기도 한다. 이는 매복된 치아가 좌우 아래 입술과 턱 주변의 감각을 느끼게 하는 신경관과 근접해 있기 때문이다. 발치 과정에서 자칫 잘못하다간 사랑니 뿌리 끝이 신경표면에 상처를 남겨 일시적 감각마비를 유발할 수도 있다.

최병준 교수(경희대학교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최병준 교수(경희대학교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감각마비는 수주에서 수개월 경과 후에 회복되지만, 신경손상 정도에 따라 드물게는 장기간 지속되어 약물·물리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방사선 사진에서 신경관과 겹쳐 보일 시 CT를 활용해 신경관과 뿌리의 관계를 자세히 살펴봐야 한다.

아래 사랑니와 달리, 위쪽의 경우에는 주변에 큰 신경이 지나가지 않기 때문에 감각이상은 잘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코와 연결되는 공기주머니인 상악동이 위치해 이 또한 발치 간 주의가 필요하다.

윗쪽에 매복된 사랑니의 대부분은 상악동과 연결되어 있으며, 뿌리 끝에 염증이나 물혹이 있는 경우에는 천공, 즉 뚫릴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매복 사랑니 발치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충분한 구강악안면외과 전문 의료진과 상담하는 것이 좋다.

사랑니 발치 시에는 마취로 인해 크게 아프지 않다. 다만 아픈 감각만을 마취한 것이기 때문에 사랑니에 가해지는 힘과 뻐근함, 분할할 때 시큰함 등은 느껴질 수 있다. 신경관과 가깝게 위치해 있다면 간혹 통증이 느껴지기도 한다.

사랑니를 빼고 난 다음 날에는 많이 아프고 붓거나 입을 크게 벌리지 못하는 증상이 나타나며, 2~3일 후에는 멍이 든다거나 침을 삼키기 힘든 증상, 인접치가 시릴 수 있다. 잠을 잘 수 없을 만큼 통증을 호소하기도 하는데, 이는 피딱지가 잘 붙어있지 않고 떨어져 나오면서 뼈가 드러나 아프고 쓰라림을 느끼는 경우로 통증 경감 치료를 권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