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al SCRP 바로 알기
Internal SCRP 바로 알기
  • 김종엽 원장
  • 승인 2010.02.09 21: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CRP보철은 유지 관리 보수에서 탁월

▲ 보스톤허브치과의원 김종엽 원장
이제 치과용 임플란트(이하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료는 더 이상 특별하지 않게 여겨질 만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초기 임플란트 치료가 골 형성 또는 골재생에 중심을 두었다면, 차차 보철물의 심미적인 부분에 더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임플란트 치료가 일반화되면서 앞으로 치과의사들은 기존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보철물의 유지, 관리, 보수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보철물의 제작과 시적 까지는 시멘트 유지형처럼 하고 접착 이후에는 나사 유지형처럼 할 수 있는 형태 즉 SCRP 형태의 보철방식이 다시금 각광받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실제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작할 때 많은 오차들이 있으며, 잘 제작된 경우라 하더라도 여러 개의 임플란트를 연결해서 나사 유지형 보철물을 만드는 경우 임플란트 간 각도에 따라서는 탈부착이 어려울 수 있다.

임플란트와 자연치의 상이함 때문에 임플란트 주변 잉여 접착제가 감염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에서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SCRP 보철물은 영구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특히 공간이 부족하여 시멘트 유지형을 사용하기 제한된 경우에서도 유리하며, 원할 때 탈, 부착이 가능하므로 잉여 접착제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SCRP 보철물의 제작을 위하여서는 SCRP가 전용 지대주를 사용하여야 한다. 교합면에 구멍이 나 있다 하더라도 임플란트 간의 각도가 벌어져 있거나 인접치아들의 각도에 따라 보철물의 탈, 부착이 어려울 수 있다. SCRP 전용 지대주를 사용하는 경우 두 임플란트 간의 각도가 약 30도 정도 벌어진 경우에도 탈, 부착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SCRP 보철이라 하면 external connection을 가지는 임플란트에서 사용된 것이다. 요즈음 많은 치과의사들은 Internal 임플란트의 사용을 선호하며 그 이유로는 보철물의 제작이 쉽고, 나사풀림 같은 기계적인 문제가 적으며, 임플란트 주변 골흡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대부분 시멘트 유지형으로 제작되므로 심미적이라는 점 등이 있다.

하지만 보철물을 제작법이 제한적이며, 나사 풀림 이외의 기계적인 문제들이 생길 수 있는 등의 단점 또한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이다. 가장 큰 단점은 임시접착제를 사용한 경우라 하더라도 지대주의 길이와 각도에 따라 재치료가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이다. Internal connection의 형태는 다양하며 여기에서는 이른바 conical seal 형태의 연결구조에 국한하여 다루려 한다.

SCRP의 핵심은 repositioning과 retrievability이다. Engaging 지대주를 사용하면 repositioning은 얻을 수 있으나, retrievability를 얻을 수 없다. Non-engaging 지대주를 사용하는 경우는 반대로 repositioning이 불가능하며, 대부분의 경우 retrievability를 얻을 수 있으나 간혹 지대주와 임플란트 간에 반복된 나사조임 또는 기능한 보철물에서 침하현상 등에서 발생하는 긴밀한 금속간의 접합이 있는 경우 retrievability를 얻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흔히 여러 개의 internal connection 임플란트의 수복 시 모형상에서 구강 내로 지대주를 옮길 때 jig가 필요하고 인상과정 중 오차 등을 고려할 때 이러한 구조물은 항상 정확하지 않다. 구강 내에서 지대주 인상을 직접 만드는 경우 지대주 조절이 필요하며 많은 체어타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단일 임플란트의 수복 시에는 회전방지를 위하여 engaging 형태의 지대주를 사용하여야 하겠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repositioning을 위하여서는 engaging 지대주가 필요하고 retrievability를 위하여서는 non-engaging 지대주가 필요하다. 그리하여 Internal 연결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에서 사용되기 위해 고안된, 내부 연결부분의 접촉면적을 줄인 internal SCRP 전용 지대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repositioning 과 retrievability 두가지가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전용 지대주를 모형상에서 구강 내로 옮기는 과정의 숙련이 필요하며 non-engaging 형태처럼 retrievability를 얻기 어려운 상황도 발생할 수 있음을 알아야겠다.

실험실 모형상에서 internal 전용 지대주를 사용한 경우 임플란트 간의 각도가 20도 정도 에서도 탈, 부착이 가능하였다. 만약 전용 지대주를 사용하지 않고, 각각의 지대주를 기공 실에서 조절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겠으나 작업의 효율과 연결의 안정성 등을 생각하면 위험요소가 많을 것이다. -덴탈투데이/치학신문-

▲ 그림 1. Internal 임플란트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지대주의 모양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 그림 2. SCRP 전용 지대주가 임플란트에 잘 연결되었을 때의 방사선학적 소견이다.
▲ 그림 3. 하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2개의 임플란트를 internal SCRP 전용 지대주를 사용한 기공실 작업과정이다.
▲ 그림 4. 같은 환자의 구강 내 연결 및 접착 과정이다.
▲ 그림 5. 잉여 접착제후 재 장착된 internal SCRP 보철물의 방사선학적 소견이다.

Internal 임플란트에서 다수의 임플란트를 연결하고 나사유지형 또는 SCRP 임플란트 보철처럼 만들기는 불리하나, 위 방법이 임플란트 보철물의 장기적인 유지, 보수에 도움을 줄 것이다. 앞으로 더 많은 실험실적 연구와 임상연구가 병행되어 임상의 들이 안심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하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