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임상적으로 실패한 보철물의 요인 분석
국내에서 임상적으로 실패한 보철물의 요인 분석
  • 박영범 교수
  • 승인 2015.04.16 11: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치과보철학회 2015 춘계학술대회 초록

▲ 박영범 교수(연세대 치과대학 보철과학교실)
최근 우리나라는 경제, 사회, 문화적인 발전으로 인해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어 구강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치과 치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치료 받게 되는 치아나 보철물의 수명에 대한 문의가 늘고 있다. 따라서 보철물 수명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국내외에서 보철물의 수명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대부분1990년대 이전에 시행된 오랜 연구들이다. 국내에서는 2001년 대한치과보철학회 주관으로 ‘보철물의 수명에 관한 연구’가 시행되어 그에 대한 보고서가 발간되었다.

이후 10년 동안 국내 보철물의 수명에 관한 연구가 몇 편 보고된 바 있으나 연구에 포함된 피험자 수가 소수이거나 단일 기관의 피험자에 한정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시행된 보철물 수명에 관한 조사를 보완하여 시대에 맞는 기준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1년에 시행된 대한치과보철학회 주관 ‘보철물의 수명에 관한 연구 보고’를 갱신, 보완하고 임플란트 보철의 평가를 포함한 시대의 흐름에 맞는 객관적 자료를 제시하자 한다. 본 발표에서는 평가기준을 표준화를 위해 개발한 보철물 평가 기록지를 소개하며, 전국 치과대학에 내원한 환자분들을 대상을 조사한 보철물 평가를 통한 수명 및 보철물 실패와 관련된 여러 요인들을 파악하고 분석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정성 보철물의 경우, 평균 사용기간은 15.4±0.81년, 5년 생존율은 0.84,10년 생존율은 0.62로 나타났다. 가철성 보철물의 평균사용기간은 11.1±0.81년, 그리고 5년 생존율은 0.73, 10년 생존율은 0.42였으며 임플란트 보철물의 경우 평균 사용기간은 10.5±0.48년임이 밝혀졌다.

이 각각의 수치는 이제까지 보고된 문헌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길었다. 그렇지만 5년, 10년 생존율은 고정성 보철물에서 각각 84%, 62%; 가철성 보철물에서 73%, 42%; 그리고 임플란트 보철물에서 84%, 55%로 이전의 연구 결과와 비슷하거나 약간 낮게 나타났다. 5년 생존율은 0.84,10년 생존율은 0.55로 나타났다. 2001년의 연구에 비해 2014년의 본 연구에서 평균수명이 길어진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를 추정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이번 조사가 12개 치과병원 급 의료기관의 보철과에서 실시되었다는 데에 있다.

치과병원급의 경우 보철과 전문 의료인에 의해 행해지므로 치과병원 급에서 제작된 보철물의 수명이 다소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치과병원 급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의 비율이 높은 영향이 있고 치의학 기술, 및 재료의 발달과 치과에 대한 국민의 치과 관심 증가, 그리고 국민들의 치아 건강관리의 향상 또한 보철물의 평균 사용 기간이 증가한 요인으로 미루어 짐작해볼 수 있으며 통계 분석 결과 보철물의 조사결과에서 고정성 보철물의 수명에 있어서 시술장소뿐만 아니라 재료와 plaque index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보철물의 수명이 보철물의 재료와 치태 조절 능력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각 보철물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알아보면, 가철성 보철물의 디자인이 가철성 보철물의 수명과 연관이 있다고 사료된다. 임플란트 보철물의 수명에 있어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남성이 유의성 있게 높은 실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기계적 실패가 임플란트 실패의 주요 원인으로 나타난다는 것과 연관 지을 이 있을 수 있다.

향후 동일 기관에서 조사를 할 경우 보철물 진단 시에 보다 우호적인 평가 결과가 진단이 나올 수 있으므로 해당 기관에서 행해진 보철물의 평가를 제외하는 것을 고려하고 보철물 평가 조사지의 객관화와 함께 평가자의 사전 교육 등을 보완하여야 하며 임플란트의 수명을 평가할 때에 있어서 x-ray view방사선학적 검사 등을 추가하는 점 등을 개선한다면 더욱 정확하고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