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 질환의 영상 소견
턱관절 질환의 영상 소견
  • 강태인 원장
  • 승인 2015.06.26 10: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턱관절협회 2015년 춘계학술대회 초록

▲ 강태인 원장(송파올치과)
TMJ 영상은 임상 검사에서 얻어진 정보를 보완하는 데 필수적이다. 특히 골 변화가 수반되거나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보존적 치료가 실패했을 경우, 증상이 점점 더 심해지는 등의 경우에는 그 중요성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외상의 병력이 있는 환자, 심한 기능장애나 교합의 변화가 있는 환자, 감각 또는 운동 신경의 이상을 보이는 환자에서도 진단 영상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하지만 다른 증상이 없으면서 관절 잡음만 있다거나, 교정 치료 전의 증상이 없는 청소년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TMJ 영상의 적응증에 해당되지 않는다.

TMJ 영상의 목적은 골조직과 연조직의 관계를 평가하고, 질환의 범위나 진행 시기를 확인하고,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데 있다.

환자에서 증상의 발현은 주로 TMJ의 기능(function)과 적응력(capacity for adaptation)에 좌우되는데, 이런 관점에서 TMJ를 구성하고 있는 해부학적 구조물의 형태, 위치와 함께 연조직 구성 성분들의 기능적 적응력(functional adaptability)에 주목해야 하며, 주로 MRI를 통해 retrodiscal tissue와 disc를 포함하는 연조직의 변화를 잘 관찰할 수 있다.

Disc의 내장증(internal derangement), 삼출(effusion) 등 다양한 TMJ 질환들의 MRI 소견을 알아보고, 그 외에 파노라마방사선사진, 경두개방사선사진(transcranial projection), medical CT, dental CBCT 등의 영상을 통해 TMJ의 다양한 질환을 살펴보고자 한다.

TMJ를 진단하기 위하여 선택할 수 있는 촬영 방법은 위와 같이 매우 다양하며, 모든 촬영법에는 제각각 장단점이 있으므로 모든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이상적인 하나의 촬영법은 없다. 그러므로 TMJ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각 촬영법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적절한 촬영법을 선택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임상가는 영상에서 얻어진 정보를 반드시 환자의 병력, 임상 검사 결과와 연관시켜 최종 진단을 내리고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